겨울날의 동화


                           류시화


1969년 겨울, 일월 십일 아침, 여덟시가 조금 지날
무렵이었다 그날은 내 생일이었다 그리고
마당 가득 눈이 내렸다
내가 아직 이불 속에 있는데
엄마가 나를 소리쳐 불렀다
눈이 이렇게 많이 왔는데 넌 아직도
잠만 자고 있니! 나는 눈을 부비며 마당으로 나왔다
난 이제 열살이었다 버릇 없는 새들이 담장 위에서
내가 늦잠을 잔 걸 갖고 입방아를 찧어댔다
외박 전문가인 지빠귀새는 내 눈길을 피하려고
일부러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눈은 이미 그쳤지만
신발과 지붕들이 눈에 덮여 있었다


나는 아무도 밟지 않은 눈 위를 걸어 집 뒤의
언덕으로 올라갔다 그곳에
붉은 열매들이 있었다
가시나무에 매달린 붉은 열매들
그때 내 발자국소리를 듣고
가시나무에 앉은 텃새들이 비명을 질렀다
그 순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그때 난 갑자기
어떤 걸 알아 버렸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것이 내 생각 속으로 들어왔다 내 삶을
지배하게 될 어떤 것이, 작은 붉은 열매와도 같은
어떤 것이 나를, 내 생각을 사로잡아 버렸다


그후로 오랫동안
나는 겨울의 마른 열매들처럼
바람 하나에도 부스럭거려야 했다


언덕 위에서는 멀리
저수지가 보였다 저수지는 얼고 그 위에
하얗게 눈이 덮여 있었다
그때 누군가 소리쳤다
저 붉은 잎들 좀 봐, 바람에 날려가는! 저수지 위에 흩날리는
붉은 잎들! 흰 눈과 함께 붉은 잎들이
어디론가 날려가고 있었다 그것들은 그해 겨울의
마지막 남은 나뭇잎들이었다
..................................................................................

네가 가는 길이 옳다고 믿는 것이 맞다.
믿음 위에 길이 있고
지혜가 있으며
감사가 있다.


사실이다.


믿지 못하는 것은 어리석음
그걸 알아야 돌아앉을 수 있다.
방향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나아 갈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지혜는 언제나
그 다음에 오는 것.
바람처럼, 소리처럼
때로는
이슬처럼, 비처럼, 눈처럼
그렇게 오겠다.

여행자을 위한 서시


                             류시화


날이 밝았으니 이제
여행을 떠나야 하리
시간은 과거의 상념 속으로 사라지고
영원의 틈새를 바라본 새처럼
그대 길 떠나야 하리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라
그냥 저 세상 밖으로 걸어가리라
한때는 불꽃 같은 삶과 바람 같은 죽음을 원했으니
새벽의 문 열고
여행길 나서는 자는 행복하여라
아직 잠들지 않은 별 하나가
그대의 창백한 얼굴을 비추고
그대는 잠이 덜 깬 나무들 밑을 지나
지금 막 눈을 뜬 어린 뱀처럼
홀로 미명 속을 헤쳐가야 하리
이제 삶의 몽상을 끝낼 시간
순간 속에 자신을 유폐시키던 일도 이제 그만
종이꽃처럼 부서지는 환영에
자신을 묶는 일도 이제는 그만
날이 밝았으니, 불면의 베개를
머리맡에서 빼내야 하리
오, 아침이여
거짓에 잠든 세상 등 뒤로 하고
깃발 펄럭이는 영원의 땅으로


홀로 길 떠나는 아침이여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은 자
혹은 충분히 사랑하기 위해 길 떠나는 자는 행복하여라
그대의 영혼은 아직 투명하고
사랑함으로써 그것 때문에 상처입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리
그대가 살아온 삶은
그대가 살지 않은 삶이니
이제 자기의 문에 이르기 위해 그대는
수많은 열리지 않는 문들을 두드려야 하리
자기 자신과 만나기 위해 모든 이정표에게
길을 물어야 하리
길은 또다른 길을 가리키고
세상의 나무 밑이 그대의 여인숙이 되리라
별들이 구멍 뚫린 담요 속으로 그대를 들여다보리라
그대는 잠들고 낯선 나라에서
모국어로 꿈을 꾸리라
..............................................................

긴 휴가를 마치고 나니,
아쉽기도 하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기도 하다.
아마도 여러가지 이유로 멀리 가지 못한 휴가여서일게다.


하지만 나름 아주 편안한 휴가였다.
아이들과 보낸 시간도 많아 좋았고,
말 그대로 그냥 쉴 수 있는 휴가였다.


그래도 어디론가 떠날 수 있는 기회가 그리 많지 않은 월급쟁이다 보니 좀 아쉽긴 하다.
나도 늘, 여행자이고 싶다.

'명시 감상 4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희상... 화가  (0) 2011.09.16
김남조... 가고 오지 않는 사람   (0) 2011.09.01
김지유... 좌욕  (0) 2011.08.22
김사인... 조용한 일  (0) 2011.08.16
도종환... 접시꽃 당신  (0) 2011.08.05

'성자가 된 청소부' 를 쓴 침묵의 성자 바바 하리 다스의 가르침의 말을 적은 책이 있었다.

'산다는 것과 초월한다는 것'

 

다시 읽는 데는 잠깐의 여유만 내면 되는 짧은 책이다.

하지만 그 말을 하나 하나 되짚어 보고 생각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참, 깊은 정신을 담은 책이었다.

 

몇 단락의 글을 정리해 본다.

 

<시간은 가는 것이지 오는 것이 아니다. 네 삶의 많은 순간들이 하나씩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 네가 좋은 일을 하든 그렇지 않든 너의 삶은 자꾸만 짧아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 죽음의 산을 향해 걸어가고 있는 두 나그네가 있다. 한 나그네는 노래를 부르고 장난을 치고 자연을 즐기면서 길을 가는 반면, 또 한 나그네는 싸움과 분노와 두려움과 집착 속에서 그 길을 간다. 두 사람 다 죽음의 산에 다다르지만 한 나그네의 마음은 연꽃처럼 피어나고, 다른 나그네의 마음은 풍선처럼 터져버리고 만다.>

 

<스스로 자기 자신의 친구가 될 수 없을 때 고독이 찾아온다. 그 고독을 잊기 위해 우리는 늘 바깥에서 친구와 연인을 찾는다. 얼마 동안은 외부의 친구와 연인에게서 즐거움을 얻을지 모르지만 그렇다고 해도 내면의 고독은 사라지지 않는다. 먼저 네가 네 자신의 연인이 되어라.>

 

<"우리는 어떻게 하면 서로에게 사랑을 보여줄 수 있는가?"

 

너의 내면에 사랑이 있다면 그 사랑은 저절로 온 사방에 전해진다. 너의 가슴속에 사랑이 없다면 억지로 사랑을 만들 수도 없고 보여줄 수도 없다. 또 너의 내면에 사랑이 있다면 너는 그것을 남에게 보여주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 사랑은 저절로 너의 주위에 반사될 것이고, 다른 이들의 가슴에 빛이 되어줄 것이다.>

 

<모든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의 상태가 곧 사랑이며, 그것이 신이다.>

 

+ Recent posts